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이야기/정보처리기사

비전공자 정보처리기사 필기 독학 노하우

40대 비전공자가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을 약 한달간 독학으로 공부해서 한번에 합격한 노하우를 공유해보고자 한다. 유튜브등에는 일주일만에 합격 비법 같은 동영상들이 넘치지만 현실적으로 비전공자가 독학으로 일주일만에 합격하기엔 어려움이 있고 현실적으로 최소 한달은 필요하다고 본다.  

 

교재 준비 (시나공)

검색해보면 시나공, 수제비, 이기적 교재가 엎치락뒤치락 순위권에서 검색된다. 나의 선택은 시나공, 기출문제와, 동영상 강의가 무료로 제공된다고 해서 선택했다. (현재 실기 준비는 수제비를 선택해서 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론 시나공이 더 나은듯 하다.) 시나공의 장점으로는..

 

1. 챕터 별 긴 동영상 강의가 아닌, 챕터 내 각 세부 내용 별 1~5분 내외의 강의로 나눠져 있어, 워하는 부분만 선택해서 짧게 짧게 들을 수 있다. 

2. 시나공 싸이트 가입하면 요약정리본, 몇개년 기출문제를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다. 시험 전날에 기출문제 3개년 다운로드 받아서 굉장히 큰 도움이 되었다. 

3. 빈출 유형과 아닌 유형이 A ~ C 등급으로 나뉘어져 있어, C등급엔 많은 시간을 쓰지 않고, 한번 훑어보는 정도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 

 

정처기 시험에 대한 이해

정처기 필기 시험은 문제 은행에서 방식으로, 미리 만들어 둔 방대한 양의 문제들이 있고, 시험 때마다 무작위로 출제하는 방식인데, 그러다 보니 어느정도 내용에 대한 이해가 됐다면 그 이후부터는 무작정 달달달 암기하는게 아니라,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유리하다. 실제로 나도, 직전 3개년 기출문제에서 풀었던 문제들과 똑같은 문제들을 시험에서 여러개 볼 수 있었다. 

 

한달(4주) 기준 기간별 공부 방법

1단계 : 기초 개념 이해 (0~1주)

시나공 교재를 기준으로 C등급은 패스, A,B 등급 부분은 천천히 1회독 하면서 개념을 훑어봤다.

 

2단계 : 과목별 집중 학습 (2~3주)

나의 경우 단순히 암기를 많이 해야되는 과목보다, 어느정도 이해를 기반으로 해야하는 3.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을 먼저 집중적으로 공부했고, 암기가 많이 필요한 1. 소프트웨어 설계, 2. 소프트웨어 개발, 5.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를 나중에 공부했다. 아무래도 암기는 금방 휘발되기 때문에 잘 외워지지 않는 부분은 (특히, 디자인 패턴 같은) 일단 놔뒀다가, 시험 직전에 벼락치기 암기를 했다.

 

3단계 : 기출문제 및 단순 암기 (4주~시험전)

시나공 싸이트에서 다운 받은 직전 3개년도 기출문제를 풀고, 틀린문제는 교재로 돌아가 다시 하번 이해 & 암기를 해줬고, 암기가 잘 되지 않아 남겨뒀던 부분들을 나름의 두음 법칙을 만들어 암기해줬다.

예를 들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나오는 산술 연산자 우선순위의 경우

감연산자 -> 술연산자->프트연산자->계연산자->트연산자->리연산자->항연산자->입연산자

"증산시 관비을 산()" 이런식으로 외웠다.

 

필기 시험 준비에 들인 시간, 비용

1. 시간 

매일 꾸준히 했다면 거짓말이지만 그래도 평균적으로 평일 1시간은 투자했고, 공부할 수 있는 주말은 3~4시간씩 공부했으며, 시험 전날은 하루종일 꼬박 공부했다. 

2. 비용 

교재비 : 시나공 교재 31,500원에 사서, 정처기 1회 필기에 합격한 후 당근마켓에 15,000원에 팔아서 총 16,500원 소요

응시료 : 19,400원 

자격증 교재는 내용 변경이 크게 없어도 매년 개정되므로 연초에 자격증 시험 바로 합격해서 중고로 교재를 팔아 비용 최소화 하는 전략으로 도전하면 비용도 절감되고, 합격에 독려도 되는 것 같다.

 

비전공자 정처기 필기 합격 노하우라고 썼지만, 결국엔 꾸준히 공부하는게 중요하다. 어차피 필기만 합격한다고 끝이 아니라 실기시험까지 있으므로 요행을 바라지 말고, 성실하게 공부합시다!